웨스 오버뮬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스 오버뮬러는 미국의 야구 선수로, 1999년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지명되어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2002년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밀워키 브루어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플로리다 말린스 등에서 활동했다. 2006년에는 오릭스 버팔로스에서, 2008년에는 삼성 라이온즈에서 뛰었으나, 두 팀 모두에서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며 시즌 중 퇴단했다. 그는 140km/h대 중반의 구속과 슬라이더, 컷볼, 포크볼을 활용하는 기교파 투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더래피즈 출신 - 일라이저 우드
일라이저 우드는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 《반지의 제왕》 시리즈의 프로도 배긴스 역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1981년생 미국 배우이다. - 시더래피즈 출신 - 론 리빙스턴
론 리빙스턴은 《오피스 스페이스》, 《밴드 오브 브라더스》, 《라우더밀크》를 포함한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한 미국의 배우로, 《스윙어스》, 《컨저링》, 《섹스 앤 더 시티》 등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이고 있다. - 플로리다 말린스 선수 - 김병현
김병현은 1999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하여 2001년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재는 방송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 플로리다 말린스 선수 - 최희섭
최희섭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출신으로,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 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에서 뛰었으며, 현재 MBC 스포츠플러스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밀워키 브루어스 선수 - 호세 카페얀
호세 카페얀은 미국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활동했으며,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하다가 2015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밀워키 브루어스 선수 - 펠리페 로페스
펠리페 로페스는 1998년 드래프트에서 토론토 블루제이스에 지명되어 데뷔 후 여러 메이저 리그 팀에서 활동하며 2005년 실버슬러거상과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11시즌 동안 메이저리그와 대만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 웨스 오버뮬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웨스 오버뮬러 |
| 원어 이름 | Wes Obermueller |
![]() | |
| 출생일 | 1976년 12월 22일 |
| 출생지 | 미국 아이오와주 시더래피즈 |
| 신장 | 187 cm |
| 체중 | 95 kg |
| 포지션 | 투수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정보 | |
| 드래프트 연도 | 1999년 |
| 드래프트 순위 | MLB 드래프트 2라운드 |
| 입단 | 캔자스시티 로열스 (2002) |
| 선수 경력 | |
| MLB | 캔자스시티 로열스 (2002) 밀워키 브루어스 (2003 - 2005) 플로리다 말린스 (2007) |
| NPB | 오릭스 버펄로스 (2006) |
| KBO | 삼성 라이온즈 (2008) |
| 데뷔 정보 | |
| MLB 데뷔 | 2002년 9월 20일, 캔자스시티 로열스 |
| NPB 데뷔 | 2006년 5월 7일, 오릭스 버펄로스 |
| KBO 데뷔 | 2008년 4월 1일, 삼성 라이온즈 |
| 최종 출장 정보 | |
| MLB 최종 출장 | 2007년 7월 13일, 플로리다 말린스 |
| NPB 최종 출장 | 2006년 8월 16일, 오릭스 버펄로스 |
| KBO 최종 출장 | 2008년 7월 9일, 삼성 라이온즈 |
| MLB 성적 | |
| 승-패 | 11승 22패 |
| 평균 자책점 | 5.82 |
| 삼진 | 166 |
| NPB 성적 | |
| 승-패 | 1승 6패 |
| 평균 자책점 | 5.31 |
| 삼진 | 27 |
| KBO 성적 | |
| 승-패 | 6승 8패 |
| 평균 자책점 | 5.82 |
| 삼진 | 49 |
2. 선수 경력
웨스 오버뮬러는 메이저 리그, 일본 프로 야구, 한국 프로 야구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1]
2. 1. 메이저 리그 시절
1999년 MLB 드래프트 2라운드에서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지명되어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2002년 9월 20일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1]2003년 밀워키 브루어스로 이적하여 3시즌 동안 활약했으며, 2005년 12월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 트레이드되었다.[1]
2007년 플로리다 말린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복귀했다.[1]
2. 2. 일본 프로 야구 시절
2006년 시즌 중, 댄 세라피니의 부진 등을 이유로 오릭스에 선발 자원으로 영입되었다. 일본에서의 첫 등판인 롯데전에서는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지만, 5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했다. 교류전에 들어가 어려움을 겪었지만, 5월 24일 히로시마전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후 제구가 잡히지 않아 결과를 내지 못하고, 중간 계투로 전환했으나 7월 중에 2군으로 강등되었고, 그대로 1군 등판 없이 결국 퇴단했다.2. 3. 한국 프로 야구 시절
2008년 1월 3일 한국의 삼성 라이온즈와 계약했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거두고 시즌 중인 7월 16일에 퇴출되었다. 삼성 라이온즈에서 17경기에 등판하여 6승 8패, 평균자책점 5.82를 기록했다.3. 플레이 스타일
구속은 140km/h대 중반 정도이지만, 슬라이더, 컷볼, 포크를 사용하여 빠른 템포로 아웃을 잡아내는 기교파 투수였다.
일본 첫 등판에서의 롯데전에서는 ZOZO 해안 경기장 특유의 강풍이 불었기 때문에 변화구가 통상 이상으로 휘어져 호투로 이어졌다. 당시 대전했던 오오마츠 쇼이치는 주간 베이스볼 지상에서 이 바람의 영향으로 휘는 공을, 그의 주무기가 아닌 슈트로 착각해 버렸다.
4. 상세 정보
'''연도별 투수 성적'''
| 연도 | 구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사구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2002년 | KC | 2 | 2 | 0 | 0 | 0 | 0 | 2 | 0 | 0 | .000 | 39 | 7.2 | 14 | 3 | 2 | 0 | 0 | 5 | 0 | 0 | 10 | 10 | 11.74 | 2.09 |
| 2003년 | MIL | 12 | 11 | 0 | 0 | 0 | 2 | 5 | 0 | 0 | .286 | 303 | 65.2 | 81 | 10 | 25 | 2 | 6 | 34 | 5 | 0 | 40 | 37 | 5.07 | 1.61 |
| 2004년 | 25 | 20 | 1 | 1 | 0 | 6 | 8 | 0 | 0 | .429 | 529 | 138 | 15 | 42 | 0 | 3 | 59 | 4 | 0 | 80 | 76 | 5.80 | 1.53 | ||
| 2005년 | 23 | 8 | 0 | 0 | 0 | 1 | 4 | 0 | 0 | .200 | 305 | 74 | 7 | 36 | 2 | 5 | 33 | 3 | 0 | 41 | 38 | 5.26 | 1.69 | ||
| 2006년 | 오릭스 | 14 | 10 | 0 | 0 | 0 | 1 | 6 | 0 | 0 | .143 | 199 | 42.1 | 46 | 3 | 29 | 2 | 4 | 27 | 1 | 1 | 30 | 25 | 5.31 | 1.77 |
| 2007년 | FLA | 18 | 7 | 0 | 0 | 0 | 2 | 3 | 0 | 0 | .400 | 278 | 72 | 7 | 36 | 5 | 4 | 35 | 2 | 0 | 49 | 43 | 6.56 | 1.83 | |
| 2008년 | 삼성 | 17 | 17 | 0 | 0 | 0 | 6 | 8 | 0 | 0 | .429 | 364 | 92 | 10 | 29 | 0 | 6 | 49 | 5 | 0 | 54 | 53 | 5.82 | 1.48 | |
| MLB : 5년 | 80 | 48 | 1 | 1 | 0 | 11 | 22 | 0 | 0 | .333 | 1454 | 315.1 | 379 | 42 | 141 | 9 | 18 | 166 | 14 | 0 | 220 | 204 | 5.82 | 1.65 | |
| NPB : 1년 | 14 | 10 | 0 | 0 | 0 | 1 | 6 | 0 | 0 | .143 | 199 | 42.1 | 46 | 3 | 29 | 2 | 4 | 27 | 1 | 1 | 30 | 25 | 5.31 | 1.77 | |
| KBO : 1년 | 17 | 17 | 0 | 0 | 0 | 6 | 8 | 0 | 0 | .429 | 364 | 92 | 10 | 29 | 0 | 6 | 49 | 5 | 0 | 54 | 53 | 5.82 | 1.48 | ||
'''연도별 수비 성적'''
| 연도 | 구단 | 투수 (P) |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 2002 | KC | 2 | 0 | 0 | 0 | 0 | ---- |
| 2003 | MIL | 12 | 13 | 12 | 0 | 1 | 1.000 |
| 2004 | 25 | 11 | 12 | 0 | 0 | 1.000 | |
| 2005 | 23 | 4 | 10 | 1 | 0 | .933 | |
| 2006 | 오릭스 | 14 | 3 | 3 | 3 | 0 | .667 |
| 2007 | FLA | 18 | 8 | 7 | 0 | 2 | 1.000 |
| MLB | 80 | 36 | 41 | 1 | 3 | .987 | |
| NPB | 14 | 3 | 3 | 3 | 0 | .667 | |
'''일본 프로 야구(NPB) 기록'''
- 첫 등판·첫 선발 등판: 2006년 5월 7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8회전 (지바 마린 스타디움), 5이닝 무실점
- 첫 탈삼진: 상동, 2회말 맷 프랑코로부터 헛스윙 삼진
- 첫 승리·첫 선발 승리: 2006년 5월 24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회전 (히로시마 시민 구장), 6이닝 1실점
'''등번호'''
- 2002년: 43번
- 2003년 - 2005년: 33번
- 2006년: 30번
- 2007년: 41번
- 2008년: 35번
4. 1. 연도별 투수 성적
| 연도 | 구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사구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2002년 | KC | 2 | 2 | 0 | 0 | 0 | 0 | 2 | 0 | 0 | .000 | 39 | 7.2innings | 14 | 3 | 2 | 0 | 0 | 5 | 0 | 0 | 10 | 10 | 11.74 | 2.09 |
| 2003년 | MIL | 12 | 11 | 0 | 0 | 0 | 2 | 5 | 0 | 0 | .286 | 303 | 65.2innings | 81 | 10 | 25 | 2 | 6 | 34 | 5 | 0 | 40 | 37 | 5.07 | 1.61 |
| 2004년 | 25 | 20 | 1 | 1 | 0 | 6 | 8 | 0 | 0 | .429 | 529 | 138 | 15 | 42 | 0 | 3 | 59 | 4 | 0 | 80 | 76 | 5.80 | 1.53 | ||
| 2005년 | 23 | 8 | 0 | 0 | 0 | 1 | 4 | 0 | 0 | .200 | 305 | 74 | 7 | 36 | 2 | 5 | 33 | 3 | 0 | 41 | 38 | 5.26 | 1.69 | ||
| 2006년 | 오릭스 | 14 | 10 | 0 | 0 | 0 | 1 | 6 | 0 | 0 | .143 | 199 | 42.1innings | 46 | 3 | 29 | 2 | 4 | 27 | 1 | 1 | 30 | 25 | 5.31 | 1.77 |
| 2007년 | FLA | 18 | 7 | 0 | 0 | 0 | 2 | 3 | 0 | 0 | .400 | 278 | 72 | 7 | 36 | 5 | 4 | 35 | 2 | 0 | 49 | 43 | 6.56 | 1.83 | |
| 2008년 | 삼성 | 17 | 17 | 0 | 0 | 0 | 6 | 8 | 0 | 0 | .429 | 364 | 92 | 10 | 29 | 0 | 6 | 49 | 5 | 0 | 54 | 53 | 5.82 | 1.48 | |
| MLB : 5년 | 80 | 48 | 1 | 1 | 0 | 11 | 22 | 0 | 0 | .333 | 1454 | 315.1innings | 379 | 42 | 141 | 9 | 18 | 166 | 14 | 0 | 220 | 204 | 5.82 | 1.65 | |
| NPB : 1년 | 14 | 10 | 0 | 0 | 0 | 1 | 6 | 0 | 0 | .143 | 199 | 42.1innings | 46 | 3 | 29 | 2 | 4 | 27 | 1 | 1 | 30 | 25 | 5.31 | 1.77 | |
| KBO : 1년 | 17 | 17 | 0 | 0 | 0 | 6 | 8 | 0 | 0 | .429 | 364 | 92 | 10 | 29 | 0 | 6 | 49 | 5 | 0 | 54 | 53 | 5.82 | 1.48 | ||
4. 2. 연도별 수비 성적
| 연도 | 구단 | 투수 (P) |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 2002 | KC | 2 | 0 | 0 | 0 | 0 | ---- |
| 2003 | MIL | 12 | 13 | 12 | 0 | 1 | 1.000 |
| 2004 | 25 | 11 | 12 | 0 | 0 | 1.000 | |
| 2005 | 23 | 4 | 10 | 1 | 0 | .933 | |
| 2006 | 오릭스 | 14 | 3 | 3 | 3 | 0 | .667 |
| 2007 | FLA | 18 | 8 | 7 | 0 | 2 | 1.000 |
| MLB | 80 | 36 | 41 | 1 | 3 | .987 | |
| NPB | 14 | 3 | 3 | 3 | 0 | .667 | |
4. 3. 기록 (NPB)
- 첫 등판·첫 선발 등판: 2006년 5월 7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8회전 (지바 마린 스타디움), 5이닝 무실점
- 첫 탈삼진: 상동, 2회말 맷 프랑코로부터 헛스윙 삼진
- 첫 승리·첫 선발 승리: 2006년 5월 24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회전 (히로시마 시민 구장), 6이닝 1실점
4. 4. 등번호
Wes Obermueller영어는 선수 시절 다음 등번호를 사용했다.- 2002년: 43번
- 2003년 - 2005년: 33번
- 2006년: 30번
- 2007년: 41번
- 2008년: 35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